정부가 홍남기 부총리 주재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엽니다. <br /> <br />이번 회의에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한 한국 경제 동향과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차량 부품 차질 문제 등이 다뤄질 예정인데요. <br /> <br />홍 부총리의 모두발언 내용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홍남기 / 경제부총리] <br />지금부터 제56차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. 어제 2월 고용동향이 발표되었습니다.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103만 7000명 늘었고 계절 조절 취업자 수, 즉 전월 대비로도 41만 7000명이 늘었으며 고용률은 67.4%로 2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, 실업률은 3.4%로 2월 기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는 등 고용시장의 개선 흐름이 견조한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30대와 40대의 취업자 수도 인구 감소 고려 시에 실질 취업자 수 증가 폭이 플러스 10만 명 내외 수준인 점, 그리고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3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는 점, 그리고 주36시간 이상 전일제 취업자 증가가 플러스 97만 3000명인 점 등 고용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. 금번 2월 고용통계가 보여주는 고용개선 흐름에 대해서는 있는 그대로 편향 없이 인식되기를 기대합니다. 한편 정부는 아직도 어려움이 큰 피해 계층, 그리고 취약계층의 고용의 엄중함, 그리고 최근의 글로벌경제 불확실성 파고에 따른 고용 파급 가능성 등에 대해서도 각별히 유념하여 정책적으로 대응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우리 경제를 둘러싼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은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및 국제사회의 대러 제재 강도 범위 확대에 따른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및 변동성 확대가 아닐 수 없습니다. 3월 들어 대러시아, 대우크라이나 수출이 감소하고 국제유가 상승 등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이 크게 확대되는 등 실물 부문에 일부 충격이 나타나고 있고 사태의 장기화 시에는 그 영향의 증폭 확대도 심히 우려됩니다. 특히 대러시아 우크라이나 기업을 중심으로 물류 차질, 대금 회수의 지연 및 유예 등 현장에서 피해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유학생, 주재원에 대한 송금 애로도 지속되고 있는 만큼 오늘 회의에서 최근의 동향에 대해 종합 점검하고 추가 대응책 등을 상정하여 집중 논의합니다. <br /> <br />먼저 긴급 금융지원 2조 원,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2000억 원 등은 물론 특례 보증을 신속 지원하고 필요 시에 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31707343776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